즐난 직거래장터
출장안마
출장마사지

자유게시판

제목

구분하기 애매한 품종

작성자

즐난 (61.♡.220.11)

등록일

06-12-21 13:06

조회수

4,526




구분하기 애매한 품종

○서와 서반 :



○서와 서반의 색상은 크게 담록색(연두색), 백색, 황색으로 나눌 수 있다. 서라는 용어는 새벽, 날이 밝다,..


아침 등으로 밝음을 나타내는 뜻으로 풀이 된다. 난 잎에 무늬(반)의 경계가 없으며 전반적으로 연한 밝은 색상을 띄며 색의 소멸이 빠르다.



난의 성질에 따라 색이 오래 남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신아 성장시기에만 비치다가 성장하면서 급소멸 되는 품종도 있다. 주로 화예 품을 기대하는데

색상에 따라 소심, 황화, 홍화, 자화 등의 꽃을 피워준다.


서반은 난 잎에 반을 남기는 품종으로서 서보다는 반이 뚜렷하지만 녹과 무늬(반)의 단절이 없고 구촉은 서서히 사라지는 후암성의 성질을 지니고 있

다. 또한 서반의 무늬는 신아시 무늬를 나타내는 품종과 뒤늦게 나타내는 후발색의 품종으로 구분된다.



또한 모든 품종에서도 마찬가지지만 세력을 받은 난과 연약한 난의 반 형성은 큰 격차를 보여준다. 한국춘란 중 서반은 다양한 품종의 화예품을 연출해

주고 있어 애란인들에게 지속적으로 기대를 갖게하는 품종가운데 하나다.



황화, 주금색화, 적화 등의 명화들을 피워주고 있으며, 일본춘란으로는 여추, 홍양, 동지광 등의 명품을 배출하여 각광을 받아 왔었다.

○○서반과 서호반 :




서반과 서호반은 엄격히 구분하기 애매한 품종이지만, 서반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서호반은 신아 때부터 무늬(반)를 연출해 주며 녹과 무늬반)

의 대비도 선명하게 단절반을 형성하지만, 1년이 지나면 서서히 무늬가 흐려지는 후암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서호반에서도 화예품을 연출해주지만 화려한 무늬에 비해 의외로 명화가 드물다. 서호반은 엽록소가 부족하기 때문에 봄과 여름철에 무늬를 손상하지

않는 방법으로는 서반과 함께 성장이 거의 마칠 무렵 가을 오전에 약한 광선을 이용 1주일정도 채광을 하면 무늬를 보다 오래 감상할 수 있다.

○호피반과 서호반 :




서호반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호피반은 선천성 가운데 후발이 많으며 후천성도 있다. 담록색(연두색) 또는 신아가 벌어지면 어둡게 관리하고 질

소질 비료를 삼가하며 장마이후 세포조직이 굳기 전에 채광에 의해 발색을 시켜야 하는데, 신아때부터 발색과정까지 관리를 잘해야 작품을 만들 수 있

다.



호피반은 반상의 무늬가운데 유일하게 소멸이 안되는 특성이 있다. 거기에는 호피반을 소출 할 때 채광에 의한 녹반을 파괴 하여 무늬를 형성하기 때문

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호피반을 너무 늦게 잘못 발색할 때는 서반과 구분하기가 애매한 품종중에 하나다. 또한 산지에서 채란된 서반, 호피반, 병반, 장애반등은 반의 선

명도가 불분명한경우가 많다.



일단 난실에서 배양과정을 거쳐보아야 정확한 개체를 알수있으며 육안으로 식별하는데는 한계가 있으므로 속단은 피하는게 좋겠다.

○반(성)호, 산반 호 :



산반성질의 반성호와 선상의 무늬인 호의 합성체로서 신아때는 무늬가 비교적 선명하게 보이다가 성장하면서 산반성질의 반상의 무늬는 소멸되고 선상

의 무늬인 호만 남게 되는데 비교적 희미한 무늬를 남긴다.



위에서 설명한 한바와 같이 반과 선의 비율에 따라 선명도가 달라진다. 반성호의 품종에서 의외로 명화를 피워주고 있어 애란인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산반호는 반상의 무늬로서 신아때는 무늬가 선명하다 성장하면서 급소멸되어 무늬를 거의 관찰하기 어렵다. 엽예로 감상하기 보다는 꽃에 기대를 모아

야 한다

○중투, 반성중투, 서반중투, 산반중투 :



중투는 선상의 무늬로서 신아때부터 성장시 까지 색상만 변화를 줄뿐 무늬경계의 형태가 변함이 없다.


반성중투는 반성호와 같은 성질이지만 신아때 무늬와 녹의 경계부분이 반상의 선들이 모여녹대비가 불분명 하나 성장하면서 반상의 선들은 소멸되고 선

상의 무늬만 남게 되는데 중투보다는 무늬와 녹대비의 선명도에서 떨어진다.


산반중투는 산반호와 같은 성질로 급소멸되며, 연녹중투처럼 흔적만 남기거나 구촉은 무늬를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엽예로서의 가치는 관상성에서 떨

어지며 꽃에 기대를 가져야한다.

○서반중투 :



반성중투와 흡사하지만 중투무늬가 반상의 무늬인 합성체로서 무늬의 중앙에 서반무늬를 남긴다. 산반중투와 함께 엽예 보다는 꽃에 기대를 가져야한다.

○복륜, 반성복륜, 산반복륜 :



복륜은 중투호와 함께 선상의 무늬이므로 복륜의 무늬와 녹대비가 잘 이루어지며 잡선이 없다. 신아때와 성장시에도 색은 변화를 가져와도 무늬형태는

변하지 않는다.



반성복륜 역시 산반중투의 특성과 같으며 신아때는 산반 복륜처럼 무늬가 비치다가 반성무늬는 소멸되고 선상의 무늬인 복륜무늬만 남게 되는데 녹과

의 색대비가 선명도에서 떨어지는 반면 가끔 명화를 피워주고 있어 애란인들의 관심사가 되고있다.



산반복륜은 반상의 무늬로서 엄격히 구분하면 복륜무늬를 만들 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산반은 불규칙한 반상의 무늬로서 선상의 무늬와 합성이 되지 않

고는 무늬형태를 만들 수 없기 때문이다.






* 산사람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1-04-21 15:02)

자유인 07-03-02 00:56
 210.♡.188.235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앞으로도 많은 정보 부탁 드립니다.
난몰넷 07-09-21 20:21
 59.♡.139.207  
  즐란입니다
금강 08-01-14 23:53
 125.♡.87.64  
  정말 많은 도움됐습니다
죽림필부 08-03-06 16:46
 116.♡.70.158  
  귀중한 자료 감사합니다.
많은 공부했습니다.^^
참뫼 11-04-26 19:51
 118.♡.186.86  
  즐거운 애란 길잡이가 되어 주셔 감사합사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