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난 직거래장터
출장안마
출장마사지

자유게시판

제목

난 용어 정리

작성자

즐난 (61.♡.220.11)

등록일

06-12-19 10:52

조회수

6,199
◈ 잎
-----------------------------------------------------

♠ 침엽 (針葉): 잎이 가늘고 뾰죽한 모양으로 일명 검엽(劍葉)이라고도 한다. 야생란에서 많이 볼 수 있다
♠ 피침형 (披針形):피침이란 옛날에 종기를 따는 쇠로 만든 끝이 뾰죽한 연장으로 심비디움계 난의 잎을 지칭할 때 쓰는 학술 용어이다.
♠ 혁질 (革質): 잎의 표면이 가죽 같은 윤기가 나는 것을 말한다.
♠ 거치 (鋸齒): 잎 가장자리가 톱니처럼 거칠거칠한 모양
♠ 기부 (基部): 잎이나 꽃잎이 붙은 아래쪽을 말한다
♠ 도피침형 (倒披針形): 피침이란 옛날에 종기를 따는 쇠로 만든 끝이 뾰죽한 연장으로이것이 옆으로 놓인상태를 말한다
♠ 배골 (背骨): 난잎의 뒷면의 중앙에 튀어나온 주맥(主脈) 또는 중륵(中肋)을 말한다.
♠ 선단부 (先端部): 잎이나 꽃의 끝부분을 말하며 기부(基部)의 반대말이다.
♠ 선호반 (線縞斑): 호반(縞斑)과 호반(虎斑)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기 위해 호반(縞斑)은선호반, 호반(虎斑)은 호피반(虎皮斑)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선호반을 縞로 호피반을 虎皮로 사용하고 있다
♠ 육질 (肉質): 잎이나 꽃잎의 두께를 말한다
♠ 지엽 (止葉): 마지막에 나오는 잎, 중심잎을 말한다
♠ 천엽 (天葉): 제일 늦게 나온잎을 말하며 풍란에서는 위쪽의 1∼2잎을 뜻하기도 한다.천심(天芯)이라고도 한다.
♠ 무지 (無地): 잎에 아무런 무늬도 없이 초록색인 경우를 말하며 흔히 청엽(靑葉) 또는 청무지엽(靑無地葉)이라 한다.
♠ 초상엽 (초狀葉): 난과식물에서 신아가 올라올 때 창(矛)모양으로 올라와 본엽의 기부를 싸고 있는 짧은 잎들을 말하는데 떡잎 또는 속어로 치마 잎이라고도 한다.
♠ 치마잎: 춘란의 초상엽을 일컫는 속어로 신아가 지상부에 올라올 수 있도록 창(矛)끝 모양을 하고있는데 뒤에 본잎이 넘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하다가 본엽이 성숙하면 갈변해서 말라버린다. 이에든 무늬나 색상으로 그 난의 장래성을 점치기도한다 또 에는 석곡의 경우 줄기의 마디마다 붙어있는 표피를뜻한다 초상엽이라 한다.
 
◈ 꽃
----------------------------------------------------

♠ 주판 (主瓣) : 꽃의 외삼판 (外三瓣)중 위쪽에 붙은 꽃잎이며 천판 (天瓣) 상악판 위꽃잎이라고한다.
♠ 부판 (副瓣) : 동양란의 외삼판 (外三瓣)중 양옆에 붙은 꽃잎, 야생란에서는 측악편이라 한다.
♠ 볼 : 설판 안쪽을 지칭하며 원래 뜻은 아가미 이지만 난계에서는 볼이라고 해석하고 있다.
♠ 비두 (鼻頭) : 꽃가루덩이(약: 葯, 화분괴: 花粉槐)가 붙은 곳 즉 약을 지칭하는 것이다. 난 꽃은 망술과 수술이 붙어 있으므로 이를 칼럼(column) 즉 암 수술 (gynostemium)이라고 하는데, 씨방에서 암술머리인 주두(柱頭)까지를 예주(蘂柱)라 한다
♠ 설판 (舌瓣) : 난꽃의 아래쪽의 꽃잎이 혀모양으로 된 꽃잎, 혀, 설(舌), 순판(脣瓣), 술꽃잎이라고도 한다.
♠ 설점 (舌點) : 설판의 붉은점이나 선을 말한다. 홍일점, 홍이점, 품자형, V자형, U자형, 말발꿉형, 자모(刺毛)등 여러 가지 모양이 있다.
♠ 악 : 꽃을 받쳐 싸고 있는 부분으로 꽃받침이라고 한다.
♠ 약 (葯) : 꽃가루가 들어 있는 화분주머니를 일컫는다. 난과 식물의 경우 화분덩어리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대부분으로 암술대의 끝에 화분 덩어리를 덮고 있는 것을 지칭한다.
♠ 예주 (藝柱) : 암술대를 지칭하는 말로 난과식물에서는 약이 예주(藝柱)의 선단부에 위치해 있다.
♠ 외삼판 (外三瓣) : 꽃에서 1장의 주판과 2장의 부판을 합쳐서 부르는 말로 학술용어는 꽃받침조각이다.
♠ 외화피 (外花被) : 악편과 화판(花瓣)을 총칭하여 화피라 하며, 바깥쪽에 있는 화피를 외화피라 한다
♠ 위소 (萎笑) : 꽃이 완전히 펴지지 않고 활짝 필때까지 굽어잇는 형태를 말한다
♠주두 (柱頭) : 난꽃의 암술머리로 암술대의 하부뒷부분에 움푹들어 간 곳을 말하며, 소취(小嘴)라고도 한다. 화분덩이가 잘 붙도록 끈적근적한 물질이 있다.
♠ 홍근 (紅根) : 뿌리의 색이 붉은 것을 말한다.
♠ 화간 (花間) : 꽃과 꽃의 간격을 말한다
♠ 화경 (花莖) : 꽃을 받치고 있는 꽃대를 말한다.
♠ 화물 (花物) : 꽃 품종이라는 뜻의 일본말인데, 우리말로는 화예품으로 대체하여 사용하고 있다.
♠ 화분괴 (花粉塊) : 난꽃은 가루가 아닌 덩어리로 비두에 두 개 또는 여러 개가 붙어 있다.
♠ 화육 (花肉) : 꽃잎 두께를 나타내는 말로 두터운 것을 후육이라 하고 얇고 윤기가 없는 것을 박육이라 한다.
♠ 화통 (火筒) : 꽃의 화색을 잘내기 위해 꽃봉오리에 씌우는 종이나 알미늄 호일로 만든 원통 모양으로 캡이라고도 한다.
♠ 화판 (花瓣) : 꽃잎을 말하며 주,부판(외삼판)과 봉심(내이판)으로 나뉜다.
♠ 화피 (花被) : 악편과 화판(花瓣)을 총칭하여 부르는 말이다.

◈ 뿌리
--------------------------------------------------------

♠ 이근 (泥根) : 풍란의 뿌리가 성장할 때 적갈색인 것.
♠ 이축 (泥軸) : 풍란이나 석곡계의 용어로 풍란계에서는 잎 기부쪽의 잎과 잎이 겹치는 부분의 색이 적자색을 띠었을 경우를 말하며, 석곡계에서는 이시(泥矢)라고도 하며, 줄기의 색이 초록색에 적색계 색소가 들어가서 혼탁하게 보이는 줄기를 말한다.
♠ 근관 (根冠) : 난 뿌리 끝의 맑은 부분으로 생장점을 보호하고 있다.
♠ 생강근 (生薑根) : 난은 일반식물과 달리 배(胚)가 없는 종자로 파종하면 근경(根莖 ; rhizome)을 형성하여 신아가 올라오고 촉 아래에서 뿌리가 나오게 된다. 이근경의 모양이 생강뿌리 모양과 닮았다하여 생강근이라고도 한다.
♠ 생장점 (生長點) : 식물에는 줄기 정단부와 뿌리끝에 생장점이 있는데 난과식물의 경우에는가구경의 상단부줄기의 정단부에 해당된다. 여기에서 분열조직이 분열하면서 엽원기를 분화하며 신아를 형성시키기도 한다. 뿌리의 생장점은 뿌리끝에 있는데 근관으로 보호되어 있다.
 
◈  벌브
------------------------------------------------------

♠ 벌브 (bulb) : 난의 줄기로 구근(球根)모양으로 둥굴게 생겼다 가구경(假球莖)또는 위구경(僞球莖)이라고도 한다.
♠ 백벌브 (back bulb) : 뒷촉에 달린 가구경을 말한다. 난잎은 4∼5년이 지나면 수명이 다하여 잎이 떨어지는데 잎이 떨어진 가구경을 백벌브라 한다.
♠ 지하경 (地下莖) : 난줄기가 땅속으로 뻗는 것으로 근경(根莖)이라고도 하며, 죽근(竹根)도 이에 속한다.단부와 뿌리끝에 생장점이 있는데 난과식물의 경우에는 가구경의 상단부줄기의 정단부에 해당된다. 여기에서 분열 조직이 분열하면서 엽원기를 분화하며 신아를 형성시키기도 한다. 뿌리의 생장점은 뿌리 끝에 있는데 근관(根冠;root cap)으로 보호되어 있다.

◈ 화형
-----------------------------------------------------

♠ 매판 (梅瓣) : 주,부판이 매화꽃 모양으로 생긴꽃을 말하며, 중국춘란에 있어서는 반드시 봉심에 투구가 있어야 하는데 투구가 없으면 원판이라 한다.
♠ 수선판 (水仙瓣) : 주,부판이 수선화 꽃잎을 닮은 형태로 기부쪽이 가늘다. 중국춘란에서는 봉심에 반드시 투구가 있어야 수선판의 요건을 갖춘다.
♠ 하화판 (荷花瓣) : 중국춘란에서는 꽃모양이 넓고 둥근 연꽃 모양으로 생긴 꽃을 말한다.
♠ 원판화 (圓瓣花) : 꽃의 주, 부판이 둥근꽃을 말한다. 중국춘란의 경우 매판은 봉심에 투구가 있어야 하며, 투구가 없으면 원판이 되는 것이다 혀도 짧다.
♠ 장원판 (長圓瓣) : 꽃이 원을 그릴 때 그안에 주.부판이 들어갈 정도면 원판이라고 하며, 원판보다 작은 것을 두화라고 하고 원판보다 크면서도 꽃잎이 둥글면 장원판이라 한다.
♠ 두화 (豆花) : 콩과 같이 작다고하여 두화라고 하였는데, 두화는 작으면서도 작은원안에 들어갈 정도로 둥근꽃을 말한다.
♠ 죽엽판 (竹葉瓣) : 주.부판이 좁고 길쭉한 대나무잎과 닮은 꽃잎을 말한다.
♠ 긴변 (緊邊) : 꽃잎 기부(밑)쪽이 가늘면서 안쪽으로 오므라져 있는 상태.
♠ 평변 (平邊) : 꽃잎 기부쪽이 넓으면서 평평한 모양을 말한다.
♠ 경사화 (更紗花) : 꽃잎에 가는 여러 개의 선(更線)이 가늘게 들어 있는 꽃.
♠ 쌍두화 (雙頭花) : 일경일화(꽃대 하나에 꽃 한송이)의 춘란에서 꽃대의 상부에 두 개의 꽃이 피는 것을 말하며, 꽃이 맺힌 마디가 다르면 1경1화이다.
♠ 복륜화 ( 覆輪花) : 바탕색이 초록색인 꽃잎 가장자리에 백색이나 황색의 테를 두른 꽃을 말한다.
♠ 복색화 ( 複色花) : 바탕색인 초록색에 적색 또는 주금색(주황색)의 복륜이나 호(縞)가든 꽃과 주금색 또는 적색의 바탕색에 초록색의 복륜이든 꽃을 복색화라 하며, 전자를 일본춘란 일륜(日輪)형 복색화 후자가 일본춘란 월륜(月輪)형 복색화 이다.
♠ 중투화 ( 中透花) : 꽃 잎의 바탕색이 황색이나 백색에 초록색 복륜을 두른꽃을 말하며, 바탕색이 붉은색이거나 복륜 부분이 적색이면 복색 중투화이다.
♠ 호화 ( 縞花) : 호에서 발전된 화려한 선천성 중투호에서 잎만큼 화려한 무늬를 꽃잎으로 가득 채우고 있다. 진녹의 테두리와 무늬의 선명한 구별이 인상적으로 평견의 둥근 꽃잎,단정한 반합배의 봉심이 만드는 멋진 자태가 당당하다.
♠ 투구화 (兜 花) : 봉심 끝부분에 두터운 살덩이가 붙어있는 것으로 중국춘란 일경일화에서 매판과 수선판의 조건중 하나로 투구가 있어야 한다. 일본책에는 두(兜)라는 한문을 쓰고있다. 한국춘란에서 봉심에 투구가 들어 있는 품종을 투구화로 분류하고 있다.
♠ 색설화 (色舌花) : 최근에 만들어진 용어로 설판(舌瓣)전체가 붉거나 가장자리만 흰색을 남겨 마치 복륜을 두른 듯한 꽃이다.
♠ 산반화 (散斑花) : 주.부판의 꽃잎에 백색이나 황색의 가는줄이 들어 있는 꽃을 말한다. 복륜화와의 구별은 경계가 분명하면 복륜화 경계가 분명하지 않고 흐릿하면 산반화이다.
♠ 평견 (落肩) : 평견부판이 아래로 쳐져있어 어깨를 떨어뜨리고 있는 것처렴 보이는 형태.관상적으로는 다소 떨어진다.
♠ 삼각견 (三角肩) : 삼각기본적인 피는 방법의 하나로 그 모양이 삼각형이다.
♠ 낙견 (落肩) : 꽃잎의 부판이 평견과 삼각견 사이에 있는 형태를 말한다. 내림피기라고도 한다
♠ 대낙견 (大落肩) : 꽃잎의 부판이 삼각견보다 아래로 처지는 형태를 말한다.
♠ 비견 (飛肩) : 꽃잎의 부판이 평견보다 위로 치켜 올라간 형태를 말한다. 날아피기라 한다.
♠ 안아 (피기) : 주판은 직립하는 데 부판은 평평하지 않고 내측으로만곡하고 무엇을 껴안는 모양.
♠ 반전 (反轉) : 꽃잎의 주.부판이 뒤로 젖혀진 형태를 말하며, 그렇게 핀 꽃을 반전피기라 한다.
♠ 복록수피기 : 복록수(福祿壽)피기란 부판이 극단적으로 구부러져 아래로 늘어져 피는 형태이며, 쳐저피기라 해도 좋을 것이다. 주로 한란계에서 사용한다.
♠ 버팀 피기 : 특히 한란꽃의 부판이 사람이 양손으로 땅을 짚고 버티는 모양으로 피는 꽃.
♠ 만세 피기 : 만세(萬歲)피기란 한란꽃의 봉심이 벌어져서 위로 보고 피거나 부판이 비견(飛肩)이상으로 올라가 피는 꽃.
♠ 절학 피기 : 절학(折鶴)피기란 주판의 끝부분이 안쪽으로 꺽어져 종이학의 목과같은 형태를 말한다.
♠ 위소 (萎笑) : 꽃이 완전히 펴지지 않고 활짝 필때까지 굽어 있는 형태를 말한다.

◈ 소심
------------------------------------------------

♠순소심 (純素心) : 외삼판(外三瓣) 및 내이판(內二瓣)에 적색의 화근이 없는 꽃을 소심이라고 하며,외판(舌瓣)에도 일체의 설점이 없고 화경과 포의, 볼에도 일체의 잡색이 없이 맑은색을 가진 것을 순소심이라고 한다.
♠ 도시소 : 설판에는 붉은 설점이 없지만 볼쪽이 붉게 물들어 있는 소심을 말하며, 준소심이라고도 한다.
♠ 자모소 (刺毛素) : 설판에 바늘을 찌른 듯이 붉은점이 무수히 들어 있는 꽃으로 준소심이다.
♠ 주사소 (朱砂素) : 설판전체가 홍색으로 물든 것을 말하며 준소심의 일종이다. 주사소는 거의 없는 것이며 최근에는 색설화라고 별종으로 취급하고 있다.
♠ 준소심 (準素心) : 설판에는 홍설점이 없으나 볼이 홍색으로 물들어 있거나 꽃대 포의 봉심에 잡색이 들어있는 소심을 말한다. 준소심에는 안쪽볼에 분홍색을 띠고 있는 것을 도시소, 설판전체에 바늘로 찌른듯한 붉은 설점이 깔려 있는 자모소(刺毛素), 설판전체가 홍색으로 착색된 것을 주사소(朱砂素)라 부른다.
♠ 녹태소 (綠胎素) : 설판의 색이 연한 초록색의 소심.
♠백태소 (白胎素) : 설판의 색이 백색인 순소심.
♠ 황태소 (黃胎素) : 설판에 잡색이 전혀없고 전체가 엷은 황색의 소심.
♠ 설무점 (舌無點) : 설판에는 붉은 설점이 보이지 않지만 볼쪽에 붉게 물들어 있는 것을 말하는데, 도시소와 같이 이해하면 된다.

◈ 봉심
-------------------------------------------------------------

♠ 봉심 (捧心) : 난꽃의 비두(鼻頭)를 감싸고 있는 꽃잎으로 내이판(內二瓣) 또는 심판(心瓣)이라고도한다 봉심의 모아진 상태에 따라 합배 반합배 분소로 나눈다. 안꽃잎이라 한다.
♠ 합배 (合背) : 봉심이 기부(밑)에서 끝까지 가지런히 포개져 있는 상태를 말한다.
♠ 반합배 (半合背) : 봉심의 끝은 포개졌으나 가운데가 벌어진 상태.
♠ 분소 (分巢) : 봉심이 벌어져 비두가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 봉심 (硬捧心) : 중국춘란에 있어서 봉심끝 투구의 살덩이가 굳은 것처럼 생긴 것을 말한다.
♠ 관음봉심 (觀音捧心) : 중국춘란에서 봉심끝 투구의 살덩이가 비교적 얇으며 끝이 안으로 오므라져 있는 모양을 말한다. 관음보살을 연상하여 붙인 이름이다.
♠ 묘이봉심 (猫耳捧心) : 중국춘란에서 봉심의 모양이 고양이 귀 모양으로 생긴 것을 말한다.
♠ 착이봉심 (搾耳捧心) : 중국춘란의 봉심형태가 귀후비개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봉심이 오목하다.
♠ 투구 (兜) : 봉심 끝부분에 두터운 살덩이가 붙어있는 것으로 중국춘란 일경일화에서 매판과 수선판의 조건중 하나로 투구가 있어야 한다. 일본책에는 두(兜)라는 한자를 쓰고 있다.한국춘란에서 봉심에 투구가 있으면 투구화이다.

◈ 기화
-------------------------------------------------------

♠ 기화 (奇花) : 주.부판 일부가 설판화(舌瓣花)되거나 봉심과 설판이 유착된 것,설판이 주.부판의 꽃으로 변한 것, 겹꽃으로 피는 것등 정상화와 다른모양을 하고 있는 꽃의 총칭.
♠ 겹꽃 피기 : 꽃잎이 여러장 이중으로 피는 것
♠ 나비 피기 : 꽃잎이 설판화(舌瓣化)되어 마치 나비가 나는 모양으로 피는 것.
♠ 모란 피기 : 꽃잎이 모란(牧丹)처럼 피는 것을 말한다.
♠ 삼예 : 두 개의 봉심이 설판화되어 뒤로 혀지는 형태인데, 3장의 설판이 정연하여 보기가 좋아 삼심기종(三心奇種)이라고도 한다.
♠ 삼판일비두 : 삼판일비두(三瓣一鼻頭)란 봉심과 설판 비두가 붙어 있는 형태로서 중국춘란취도(翠桃)가 그 예이다.
♠ 자보 피기 : 자보(子寶)피기란 보통 꽃옆에 작은 꽃이 달려서 피는 것을 말한다.
♠ 팔중 피기 : 팔중(八重)이란 겹꽃의 일본말이며, 난계에서는 겹꽃으로 피는 기종을 뜻한다. 중국춘란 여호접이 대표적이다.
♠ 호접 피기 : 호접(胡蝶)피기란 부판이 정형으로 피지않고 설판화되어 피는 기종을 말한다.
♠ 환접 (幻蝶) : 봉심이 설판화되어 기형으로 피는 모양이다. 중국춘란 예접(蘂蝶)이 이에 해당한다.

◈ 발색
-----------------------------------------------------

♠ 선천성 (先天性) : 새싹이나 꽃이 필때부터 무늬나 색깔이 들어오는 것을 말하며, 선발색이라고도 한다.
♠ 후천성 (後天性) : 잎의 무늬나 꽃의 색깔이 어릴때는 녹색이다가 자라면서 무늬 또는 화색을 나타내는 것을 말하며, 후발성이라고도 한다.
♠ 소멸성 (消滅性) : 잎의 무늬가 엽령(葉齡)이 증가함에 따라 사라지는 것을 말한다.일본식 용어로 후암성(後暗性)이라고도 한다.
 
◈ 설점
----------------------------------------------------

♠ 품자 (品字) : 설판의 설점이 정삼각형으로 ∴자와 같이 점이3개 들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 역품자 (逆品字) : 설점(舌點) 3개가 ∵자형으로 역삼각형으로 들어간 것을 말한다.
♠ ·점 : 설판에 붉은색의 ·점이 물든 것으로 홍일점(紅一點)이라고도 한다.
♠ ‥점 : 설판에 붉은색의 ‥점이 물든 것으로 홍이점(紅二點)이라고도 한다.
♠ 이인 (二引) : 설판에 나타난 붉은 설점이 두줄로 나란히 그은듯한 모양 즉 ∥형으로 나타난 것.
♠ 원보 (元寶) : 설점이 U자형 인것으로 U자형 또는 말발굽형 설점이라고도 한다.
 
◈ 설판
-----------------------------------------------------

♠ 권설 (捲舌) : 안쪽으로 말린 설판.
♠ 여의설 (如意舌) : 설판이 두터우며 말리지 않고 마치 혓바닥을 앞으로 내민 것같은 상태로 대여의설과 소여의설이 있다.
♠ 소여의설 (小如意舌) : 설판이 말리지 않고 마치 혓바닥을 앞으로 내민 것 같은 상태이나 끝이 뾰죽하다.
♠ 대여의설 (大如意舌) : 설판이 말리지 않고 마치 혓바닥을 앞으로 내민 것 같은 상태이나 폭이 넓다.
♠ 대포설 : 설판의 모양이 크며 안쪽으로 말리지않고 아래로 늘어진 상태.
♠ 용탄설 (龍呑舌) : 여의설처럼 생겼으나 가장자리가 이빨처럼 생긴 설판.
♠ 유해설 (劉海舌) : 설판이 짧고 둥굴며 두터운데다 폭이 넓으며 뒤쪽으로 말리지 않고 약간 아래로 쳐진 형태이다. 중국춘란 송매(宋梅)가 이에 속한다.
♠ 원설 (圓舌) : 설판이 둥근 원을 그린듯한 설판.

◈ 복륜
------------------------------------------------------

♠ 복륜 (覆輪) : 초록색 바탕의 잎가장자리에 백색이나 황색의 테를 두른 무늬를 말한다 복륜의 원래의뜻은 칼이나 말안장 등의 가장자리를 장식한 무늬를 말한다 갓줄무늬 또는 테두리라고도 한다.
♠ 대복륜 (大覆輪) : 잎가장자리의 선이 기부에서 끝까지 굵게 들어간 복륜.
♠ 사복륜 (絲覆輪) : 잎의 가장자리에 백색 백황색 황색의 테두리를 둘렀으나 복륜의 폭이 실같이 가는 형태이다.
♠ 조 (爪) : 잎 끝에 0.5 ∼ 1㎝ 정도 백색이나 황색의 선을 두른 무늬를 말하며 조는 한자의 손톱을 말하는 것으로 손톱같이 생겼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잎의 1/3정도 길이까지 두른 것을 심조(深爪)라 한다 끝테,갓,손톱무늬 등으로도 부른다.
♠ 조복륜 (爪覆輪) : 잎끝에서 1/4 정도까지의 범위 내에 든 복륜.
♠ 조호 (爪縞) : 백색내지 황색의 조에 호가 든 무늬를 말한다.
♠ 심조 (深爪) : 잎 끝에 든 조(爪)가 잎의 1/3정도까지 두른 무늬를 말한다.
♠ 심조복륜 (深爪覆輪) : 조복륜(爪覆輪)의 조 부분이 깊게 들어간 무늬를 말한다.
♠ 모자 (帽子) : 초록색 바탕의 잎에 백색 또는 황색의 긴 조(爪)가 안쪽으로 든 것을 말한다. 끝빛무늬,손톱무늬, 삿갓이라고도 한다.
♠ 심모자 (深帽子) : 백복륜이나 감복륜의 조(爪 : 손톱)에 해당되는 부분이 깊이 들어간 무늬를 말한다.
♠ 복륜호 (覆輪縞) : 복륜과 호(縞)가 혼재한 무늬를 말한다.
♠ 복륜호 (覆輪虎) : 백색의 복륜에 단절호피반이 들어가는 것과 단절호피반의 가장자리를 가늘게 초록색테가 둘러진 녹뷴륜호피반 두 종류가 있다. 후자는 넓은 의미에서 중반이다.
♠ 감복륜 (紺覆輪) : 연초록색 바탕의 잎가장자리에 짙은 초록색 복륜을 두른 것으로 녹복륜(綠覆輪)이라고도 한다.
♠ 감모자 (紺帽子) : 잎 끝에 짙은 초록색 축입이나 모자를 두른 것.

◈ 화색
-------------------------------------------------------

♠ 백화 (白花) : 꽃잎이 백색인 꽃을 말하며 일본사람들은 소심(素心)을 백화라고도 부른다 백화는 일시적인 탈색 현상으로 고정이 어려운것이 흠이다.
♠ 도화 (桃花) : 꽃의 색깔이 복숭아 꽃색인 연분홍색이 물들은 꽃을 말한다. 그러나 대부분 산반화로 취급되고 있다.
♠ 자화 (紫花) : 꽃잎의 색상이 붉은보라색(紅紫色)에서 흑자색에 이르는 범위의 꽃을 말한다.
♠ 적화 (赤花) : 꽃잎의 색이 붉은 것을 말하는데 가끔 주금색화(朱金色花)가지도 적화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있다.
♠ 홍화 (紅花) : 꽃의 색깔이 분홍색인것을 말하는데 적화와는 같은 꽃으로 취급하고 있으나 전문가는 홍화는 적화보다는 엷고 도화보다는 진한 색으로 보고 있다.
♠ 황화 (黃花) : 황색으로 피는 꽃을 말하는데 난꽃은 대부분 초록색으로 피므로 황화는 귀한 품종이다.산채시 보춘화와의 구별이 어려운 경우가 황화인데 산에서 낙엽에 가려서 엽록소의 발현이 덜되어 황화로 보이는 경우와 햇빛에 과다 노출되어 엽록소가 파괴되어 황화로 오인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때는 라이타등으로 가열해보면 일반 보춘화는 록색으로 변하고 황화는 변하지 않는다.
♠ 주금화 (朱金花) : 한국춘란과 일본춘란에만 나타나는 독특한 색깔의 꽃으로 주홍색(朱紅色)에황금색을 가미한듯한 색상이다. 주금화는 일본식 표현으로 주황색화라 표현함이 옳다.

◈ 사피
------------------------------------------------------

♠ 사피반 (蛇皮斑) : 황색, 백황색,백색 바탕인 잎에 초록색의 작은점이나 극히 짧은 선이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그물무늬 또는 깨알무늬라고도 한다. 전면사피, 산반사피, 단절사피등이 있다. 사피반은 대부분 신아 때부터 무늬가 들어서 나오지만 성촉이 되면서 소멸되어 흔적만 남으며, 우수한 품종은 2∼3년간 소멸되지 않는 것도 있다. 바탕색은 호피반과 같이 황색과 초록색점과의 색대비가 좋을수록 감상 가치가 높다.
♠ 전면사피 (全面蛇皮) : 잎전체에 걸쳐 황색이나 황백색 서반(曙斑)에 초록색의 작은점이 불규칙하게 들어 있는 사피를 전면사피라 한다.
♠ 단절사피 (段切蛇皮) : 사피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단처럼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 망지 (網地) : 난잎에 그물 모양으로 무늬가 들어오는 것.
♠ 사자반 (砂子斑) : 모래알 같은 무늬라는 뜻으로 신아가 나올 때 선명하게 사피처럼 들어 나오지만 점차 소멸한다.타래난초나 붉은 사철란등 야생란에 많이 나오는 무늬이며 춘란에도 가끔 나타난다.
 
◈ 산반
------------------------------------------------------

♠ 산반 (散斑) : 잎의 엽맥(葉脈)에 평행하여 백색이나 황색의 가는 줄이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보통 초록색으로 소멸되지만 안되는 것도 있다. 빛살무늬, 빗살무늬, 햇살무늬라고도 한다.
♠ 산반사피 (散斑蛇皮) : 잎에 산반과 사피가 공존하는 무늬를 말한다.
♠ 산반중투 (散斑中透) : 잎의바탕은 산반이지만 가장자리가 초록색 복륜으로 둘러진 무늬를 말한다. 그리고 복륜과의 경계가 흐린 것은 중반이다 신아가 나올 때 선명한 중투로 나오는 경우가 많다.
♠ 전면산반 (全面散斑) : 산반무늬가 소멸되지 않고 남아있는 무늬로 총산반 쑥산반이라고도 한다.
♠ 산반호 (散斑縞) : 산반에 호가 섞인 무늬로 보통 끝에 축입이 들고 선명치는 않으나 가느다란 호가 들어 있어 아름다운 편인데 산반은 소멸되는 경우가 많다.
♠ 봉 (峰) : 잎 끝에 산반무늬가 든 것.
♠ 송 (松) : 극히 짧고 섬세한 선이 모여 산반처럼 보이는 무늬를 말한다.
♠ 운정 (雲井) : 연초록색 잎 끝에 농록색의 축입이 든 무늬를 말한다.
♠ 중반 (中斑) : 산반 바탕에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초록색 복륜이 둘러진 무늬를 말한다 중앙 배골 부분이 초록색인 무늬를 말한다.
♠ 삼광중반 (三光中斑) : 잎끝은 농록색 조복륜이며, 기부쪽에서 호가 올라와서 엇갈리는데 배골을 중심으로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중반이 드는 무늬이다. 현재까지는 야생란에 이러한 무늬가 나왔다.
♠ 축입 : 잎 끝에서 기부쪽으로 백색 또는 황색의 가는 산반이나 산반호가 들어가는 무늬를 말한다.
♠ 축입호 (蹴입縞) : 축입에 호가 더해진 예(藝)를 말한다.

◈ 서반
----------------------------------------------------

♠ 서 (曙) : 초록색잎에 경계가 뚜렷하지 않는 백색이나 황색의 반(斑)이 들어간 무늬를 말하며, 점점 초록색이 발현되기도 한다 황색으로 남는 경우가많다 안개무늬라고도 한다.
♠ 유령 (幽靈) : 백색 또는 황색의 잎인데 전체에 엽록소(葉綠素)가 전혀 없는 것으로 백자(白子; albino)를 일컫는 속어이며, 자생지 에서는 2∼3촉 짜리도 발견되지만 재배하면 번식이 되지 않고 죽어 버린다 노랑이라고도 한다.
♠ 근안반 (根岸斑) : 기부쪽에서 서반이 발현되는 것.
♠ 선반 (先斑) : 잎 끝에 서반(曙斑)이 든 무늬를 말한다.
♠ 청태 (靑苔) : 푸른 이끼라는 뜻인데 난계에서는 백색 내지 황색바탕의 난잎에 희미한 초록색의 이끼가 낀 듯한 반이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청태는 소멸되는 경우가 많다.
♠ 서호반 (曙虎斑) : 서(曙)속에 황색이나 백색의 호피반이 어렴풋이 들어있는 무늬를 말한다.

◈ 엽육
-----------------------------------------------------

♠ 후육 (厚肉) : 잎이 두꺼운 잎을 말한다.
♠ 박육 (薄肉) : 잎이 얇은 잎을 말한다.
♠ 중간 (中間) : 잎이 중간 두께의 잎을 말한다.
♠ 혁질 (革質) : 잎의 표면이 가죽같은 윤기가 나는 것을 말한다.
 
◈ 엽좌
-------------------------------------------------------

♠ 권엽 : 잎이 활을 그리며 안쪽으로 말려 들어가고 있기 때문에 솟아오르고나서 바로 말리는 것 중간정도 부터 말리는 것 등 여러가지가 있다.
♠ 수엽 (垂葉) : 잎의 상부 3분의 2정도가 완만하게 늘어져 내리기 때문에 우아함을 느낄수 있다.
♠ 중수엽(中垂葉) : 잎의 길이 절반에서부터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늘어져 있다.
♠ 입엽 (立葉) : 중국춘란에서 많이 볼수있다태로 굽은잎 또는 반수엽(半垂葉)이라고도 한다.
♠ 중입엽 (中立葉) : 잎이 나있는 모양이 기부(밑)에서 중간까지는 위로 곧게 뻗고 그위쪽은 늘어지는 형태로서 굽은잎 또는 반입엽이라 한다.
♠ 노수엽 (露水葉) : 잎이 아래로 처지지 않고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올라간 잎을 말하며, 밤에 이슬을 받는 형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직립엽 (直立葉) : 곧곧하게 서있는 잎을 말한다.
 
◈ 엽형
----------------------------------------------

♠ 단엽종 (短葉種) : 일반적으로 잎길이 10㎝정도로 짧고 후육(厚肉:두꺼운 잎)인데다 폭이 넓은 품종을말한다. 잎표면이 양복 옷감처럼 윤기가 없는 나사지가 든 것, 잎은 좁은편이나 주걱모양의 후육질인 것, 부추처럼 잎이 얇으며 폭이 좁고 가구경이 커지지 않는것, 잎이 꼬이는 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최근에는 잎폭 2㎝ 길이 20㎝정도 되는단엽종도 발견되고 있다.
♠ 환엽 (丸葉) : 잎끝이 둥굴게 생긴잎으로 환지(丸止), 환지엽(丸止葉) 또는 마루가다라고도 하며 지방에서는 야구빠따라고도 한다.
♠ 갑룡 (甲龍) : 잎에 울룩 불룩한 골이 들고 올라온 부분이 엽육이 두터운 엽(잎)변이종을 말한다.
♠ 선갑룡 (線甲龍) : 잎에 두터운 선 모양의 주름진 갑룡을 말한다.
♠ 광엽 (廣葉) : 잎의 폭이 넓은 잎을 말한다.
♠ 중엽 (中葉) : 잎의 폭이 중간 넓이를 말한다.
♠ 세엽 (細葉) : 보통잎보다 좁은 잎을 말하며, 다만 혜란에 있어서는 잎의 폭이 1,5㎝이하의 좁은 잎을가진 난으로 옥화란 건란 소심란 등이 이에 속하며, 세엽혜란으로 분류한다.
♠ 대엽 (大葉) : 평균보다 큰잎 대엽성이라고도 한다.
♠ 무지 (無地) : 아무런 무늬가 들지 않은잎, 즉 무늬가 들지 않은 초록색의 바탕색을 말한다. 무지엽(無地葉) 청무지엽(靑無地葉)이라고도 한다.
♠ 라사지 (羅紗地) : 나사란 포루투갈어의 Raxa(두텁고 주름이 잘가지 않은 모직물)를 일본인들이 음역한 것이며, 지(地)는 생지(生地: 천, 옷감)의 약자이다. 따라서 나사지란 양복천을 말한다. 난에서는 옷감처럼 윤기가 없으며 매끌하지 않고 거친듯한 잎을 지칭한다 주로 단엽계에서 많이 볼수 있다.
♠ 주걱잎 : 잎 모양이 기부(잎 밑부분)가 가늘고 중간에서 끝까지 둥굴어 마치 주걱모양으로 생긴 잎이다.
♠ 둔두 (鈍頭) : 잎끝이 둥근형.
♠ 연미 (燕尾) : 잎끝이 갈라져 제비 꼬리처럼 된 것인데, 한란에서는 봉심의 포개진 상태가 제비꼬리처럼 엇갈리는 상태를 말하는데 연미봉심 이라고도 한다.
♠ 영충검 (鈴蟲劍) : 잎끝이 귀뜨라미 꼬리처럼 생긴잎을 말한다.
♠ 울두엽 (울斗葉) : 울두란 일본말로 인두란 말로서 풍란잎이 인두로 누른 듯이 들어가서 잎양쪽 가장자리가 좌우에서 쥔 듯이 붙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 사자예 (獅子藝) : 정상적인 잎이 아닌 꼬이거나 비틀어진 잎을 말한다. 광엽(狂葉)이라고도 한다.
♠ 관엽 (管葉) : 파이프 모양의 잎으로 잎 가장자리가 유착된 경우가 많다. 통엽(桶葉, 筒葉)이라고도 한다.
♠ 평엽 (平葉) : 잎이 평평한 잎을 말한다.
♠ 나선엽 (螺旋葉) : 잎이 꼬인 잎을 말한다.

◈ 호반
--------------------------------------------------------

♠ 중투(中透) : 잎바탕색이 백색 또는 황색의 테를 두른 무늬를 말한다. 반드시 중앙 배골의 색은 바탕색과 같아야 한다. 한국춘란에서 순수한 중투는 많지않다 속빛줄무늬,가운데줄무늬,초롱무늬, 횃불무늬 등으로도 부른다 바탕색이 연초록인 경우 감복륜(紺覆輪) 또는 녹복륜(綠覆輪)이라 한다.
♠ 중투호(中透縞) :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호반이 잎의 중앙부분까지 들어 잎의 주위녹부분에 복륜상태로 바탕이 나아서 중심부가 백 또는 황 등으로 뚫어져 있는 예(관상면에서 우수)
♠ 대중투(大中透) : 복륜부분의 선이 굵어서 배골을 중심으로 한 백색 내지 황색의 바탕이좁은 중투를 말한다.
♠ 중압 (中押) : 백색 내지 황색 바탕의 잎에 든 초록색 심모자 복륜과 기부쪽에서 밀어 올리는 호가 어긋나게 만나는 무늬를 말한다. 속빛무늬 또는 왕초롱무늬라고도 한다.
♠ 중압호 (中押縞) : 백색 또는 황색바탕의 잎에 든 초록색 복륜을 두른 것으로 잎끝의 초록색 조가 깊게 들면서 기부쪽으로 내려가는 가는호와 기부에서 잎끝으로 향해 올라오는 초록색호가 서로 엇갈리는 무늬를 말한다.
♠ 호 (縞) : 잎의 배골을 제외한 중앙부나 한쪽 가징자리에 엽맥 방향으로 한줄내지 여러줄이 들어간 무늬를 말한다. 속줄무늬, 안줄무늬라고도 한다.
♠ 감호 (紺縞) : 연초록색이나 초록색 바탕에 진한 초록색 호가 든 것발.
♠ 발호 (拔縞) : 기부에서 나온 호(縞)가 잎 끝에서 빠져나간 호를 말한다. 중투가 나오는가 하면 무지로도 나오는등 무늬의 고정성이 어렵고 성질이 변하기 쉽다. 거의 무지로 나오는 확률이 높다 깜짝호 또는 봉호(棒縞)라고도 한다.
♠ 반호 (斑縞) : 원래 혜란계에서 사용하던 용어이나 지금은 난 전반에 걸쳐 사용한다. 잎 전체에 걸쳐가늘고 짧은 섬세한 모여 호(縞)처럼 연결되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반절호 (半折縞)잎의 배골을 중심으로 한쪽에는 초록색 다른 한쪽에는 백색 또는 황색의 무늬를 말한다. 계속이 없으며 잎끝이 초록색으로 감싸면 호나 중투로, 백색이나 황색으로 감싸면 복륜으로 발전한다 원평호라고도 한다.
♠ 원평호 (源平縞) : 이용어는 일본의 원(源)씨와 평(平)씨 두 무사 집안이 적대 관계로 있던 것에서 빌려온 것으로 우리 난계에서는 위와 같이 반절호라고 사용하고 있다.
♠ 삼광호 (三光縞) : 백색 내지 황색의 조(爪)에서 내려가는 가는선과 기부쪽에서 올라오는 여러개의 호가 합쳐지지 않고 사라져서 중간에 초록색이 남는 무늬를 말한다 조가 없는 것을 중호(中縞)라 하며 호가 조까지 닿으면 조호(爪縞), 조에서 내려가는 선이 잎의 기부까지 내려가다 멈추는 것을 축입호라 한다.
♠ 선반호 (先斑縞) : 가는선이 모여 이루어진 반호가 잎 끝 부분에 들어가 있는 무늬를 말한다. 이반호가 많이 들고 그속에 초록색선이 들어 있는 경우도 있다.
♠ 쇄모호 (刷毛縞) : 쇄모란 일본말로 페인트를 칠할 때 사용하는 납작한 붓을 말하며, 이것으로 그은듯한 많은 가는 호가 든 무늬를 말한다.
♠ 호복륜 (縞覆輪) : 복륜과 호가 혼재한 무늬.
♠ 조호 (爪縞) : 백색 내지 황색의 조에 호가 든 무늬를 말한다.
♠ 천근호 (千筋縞) : 잎가운데가 가늘고 긴 산반호가 많이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 묵류 (墨流) : 풍란 용어로 풍란잎에 목수들이 쓰는 먹통으로 줄을 친 것 같은 검은 선을 말하는데, 호라 부를수가없는 얕은 무늬로 우리말로는 먹줄이라 한다.
♠ 선호반 (線縞斑) ; 호반(縞斑)과 호반(虎斑)의 발음이 같기 때문에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호반(縞斑)은 선호반 호반(虎斑)은 호피반(虎皮斑)으로 사용하고 있다.
 
◈ 호피
-------------------------------------------------------

♠ 호피반 (虎皮斑) : 호반이나 복륜반은 엽맥을 따라서 나타나지만 이것은 일부 집중되기도 하고 산재해나타나는 호모양의 무늬를 총칭해서 말한다.
♠ 절반 (切斑) : 농록색잎에 경계가 뚜렷한 황색 또는 황백색 호피반이 든 것을 말한다.
♠ 대절반 (大切斑) : 호피의 단절이 크게 들어간 무늬.
♠ 단절반 (段切斑) : 호피반 무늬의 일종으로 초록색과 황색의 무늬 경계가 뚜렷하고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단처럼 들어있는 무늬를 말한다.
♠ 맹호 (猛虎) : 호피반 무늬중 초록색잎에 농황색으로 뚜렷하게 든 호피반을 말한다.
♠ 호호피반 (縞虎皮斑) : 잎에 호와 호피반 무늬가 동시에 들어간 무늬를 말한다.
♠ 절호반 (切虎斑) : 호피반의 무늬가 잘 끊어진 모양.
♠ 서호반 (曙虎斑) : 서(曙)속에 황색이나 백색의 호피반이 어렴풋이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 시괄호 (矢괄虎) : 배골을 중심으로 오늬(화살을 줄에 걸치도록 V자 처럼 파인곳)모양의 <형으로 생긴 절반호(切斑虎)를 말한다.
♠ 압상호 (押上虎) : 이 무늬는 초년도에 나타나지 않고 이듬해봄에 자라면서 윗쪽은 마디가 지고 아래쪽은 흐린 호피반이 드는 무늬를 말한다
♠ 연반 (緣斑) : 잎의 가장자리에 들어가는 호피반을 말한다.
♠ 연호 (延虎) : 잎 전체에 호피반이 연이어 들어간 상태를 말하며 호피반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고 연결된 것같은 호피반을 말한다.
♠ 옥반 (玉斑) : 호피반속에 초록색의 둥근점이 들어 있는 무늬를 말한다.
♠ 유호반 (流虎斑) : 호피반이 잎 끝쪽으로 뚜렷하게 마디가 졌으나 기부쪽은 경계지지 않는 호피반을 말한다. 흐르는 듯이 길게 늘어져 있어 유반(流斑)이라고도 한다.
♠ 취설호 (吹雪虎) : 취설이란 일본말로 눈보라란 뜻으로 불규칙한 호피반 무늬가 눈보라처럼 많이 들어가는 호피반을 뜻한다.
♠ 포반 (抱斑) : 시괄호 같은 이반이 하나 정도 들어 있는 절반을 말한다.
♠ 협반 (鋏斑) : 무늬가 잎 가장자리에 걸리지 않고 배골을 끼고 가위처럼 서로 마주보는 듯이 나타나는무늬를 말한다.
♠ 금사 (金紗) : 호피반의 경계가 흐릿하게 된듯한 무늬 금사(錦紗)라고도 쓰며 바이러스병에 걸린 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도 (圖) : 대패로 나무를 깍았을 때 나무에 남아 있는 나무결 모양으로 엷게 들어간 호피반으로 도호반(圖虎斑)이라고 한다.
♠ 이반 (耳斑) : 잎의 양쪽에 서로 마주보고 작은 호피반이 나타나는 것.

◈ 기타용어
-------------------------------------------

♠ 기종 (奇種) : 잎 또는 꽃 모양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들을 지칭.
♠ 노대 (老大) : 한포기의 잎전체가 노랗거나 갈색으로 변하여 시들기 일보직전의 잎.
♠ 대생 (對生) : 줄기를 중심으로 마주보고 나오는 잎.
♠ 성촉 : 성촉이란 완전히 자란 촉을 말한다.
♠ 소묘 (小苗) : 정상적으로 다자라지 못한 난.
♠ 신아 (新芽) : 새로 나오는 싹. 새촉이라고도 한다.
♠ 씨방 : 꽃이 달린 꽃대의 윗부분에 위치해 있으며 배주가 있는 부분이다. 수정되면 종자가 자랄곳이며, 난과식물은 꽃의 아래부분에 씨방이 위치해 있으므로 자방하위라고도 한다. 자방(子房) 씨주머니라고도 한다.
♠ 예 (藝) : 보통 품종과는 달리 잎이나 꽃에 나타나는 특징적인 변이를 말하며 그개체가 갖고 있는 본질적 특징을 본예(本藝)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장기(長技)라는 용어가 이에 해당한다.
♠ 유묘 (幼苗) : 근경(根莖) 또는 원괴체(原塊體)에서 나온 어린 촉.
♠ 촉 : 촉이란 화살촉 또는 펜촉등 끝이 뾰죽하고 둥근 물체를 지칭하며, 난계에서는 언제부터 이용어가사용됐는지 확실하게 알수 없으나 개체 하나하나를 뜻하고 있다.
♠ 포의 (苞衣) : 꽃봉오리를 둘러 싸고 나와서 꽃대 마디마다 붙어있는 얇고 작은 초엽을 뜻하며, 꽃의 색깔에 따라 백록색 담홍색 자홍색 등이 있다. 포(苞) 꽃깃이라고도 한다.
♠ 화경 (花莖) : 꽃을 받치고 있는 꽃대를 말한다.
♠ 구촉 : 신아의 반대말로 오래된 촉. 노촉 또는 퇴촉이라고도 한다.
♠ 엽예품 (葉藝品) : 녹색을 기본으로 하는 한국춘란의 잎에 변이가 일어나 아름다운 무늬가 고정되어 나타나 선상과 반상의 무늬가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는 상태
♠ 화예품 (花藝品) : 꽃의 색의 원래의 색에서 벗어나 여러 가지 색이 나타나는데 이들이 고정되어 계속그 아름다운을 감상할 수 있는 품종

* 산사람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1-04-21 15:02)

난몰넷 07-09-21 20:23
 59.♡.139.207  
  정의
전철표 09-03-06 00:22
 211.♡.189.243  
  다외워야되는데^^;; 어렵네요ㅠ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