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난 직거래장터
출장안마
출장마사지

자유게시판

제목

12월난관리

작성자

즐난 (61.♡.221.112)

등록일

06-12-12 18:43

조회수

3,274
12월난관리

온도
5℃ 정도를 유지 한다. 지나친 기온은 난을 약화 시키므로 유의 한다.

광선
아침 햇빛을 충분히 쪼이고 , 한낮에는 차광막을 한 겹 쳐서 직사광선을 피해 준다.

물주기
분토가 완전히 마르기를 기다렸다가 따뜻한 날 오전 중에 관수 한다. 꽃봉오리에는 물이 닿지 않게 분토 위에만 준다.

습도
60% 정도를 유지 한다

비료
휴면기이므로 비료를 주어도 흡수하지 못하니 시비는 하지 않는다.

병충해,소독
예방을 위한 살균,살충을 월 1회 정도 실시 해도 무방하다.

통풍
한낮의 기온이 높아지면 창문을 열어 통풍을 시킨다. 그러나 찬 바람이 직접 닿지 않게 유의한다.


춘란 관리하기


온도
겨울 동안의 최저 온도는 2∼3℃가 가장 적당하다. 자생지에서의 춘란 생육 환경에서도 알 수 있듯이 춘란은 추위에도 강하다. 겨울에는 저온으로 관리하는 것이 춘란의 생육에는 유리하다.

물주기
겨울철에는 건조한 기후로 식재가 빨리 마르지만 관수 횟수를 서서히 줄여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면에 들어간 난은 생리 작용이 미약해져 필요로하는 물의 양도 적어져 최소한의 물만을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오후에 물을 주면 밤의 기온 하강으로 분이 얼어 난이 동해를 입을 수가 있다. 관수는 10℃이상의 맑은 날 오전에 주는 것이 좋겠다. 또한 지나친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분무기로 난 엽면에 물을 분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비료
본격적인 휴면에 들어가므로 시비할 필요가 없다.

통풍과 습도
휴면기의 춘란이라 할지라도 통풍과 환기는 반드시 필요하다. 엄동의 기온만 아니라면 한낮에는 난실의 창문을 열어두고 환풍기 등을 이용하여 공기의 순환을 유도하며 기온의 상승을 막는다. 통풍과 환기가 불량한 곳에서 겨울을 지낸 난은 병약해져서 다음해의 신아와 모촉에 병이 발생할 확률이 크다.
겨울에는 공기가 건조해지기 쉽다. 특히 이상 건조 현상이 계속되는 것에 유의한다. 분의 표면이 지나치게 마르면 꽃봉오리가 마르거나 극단적인 경우 생육이 정지되어 버린다. 평균 습도가 60%정도 되도록 관리한다.

채광
춘란의 채광은 다음해 꽃의 발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겨울 휴면 기간 중의 일조는 병해충에 대한 저항력을 길러주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가능한 12월 중순까지 충분히 태양광선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병해충 방제
병충해차원에서 난실 전체를 소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오랜 기간 분갈이를 하지 않은 분은 휴면 전에 분갈이를 해두는 것이 좋겠다. 또 통풍 설비를 점검한다

휴면기의 배양에 대해
겨울철에 가온을 하여 재배한 난은 세력이 약해져서 배양환경이 조금만 바뀌어도 적응을 하지 못하고 뿌리나 잎에 장해를 입으며 신아가 나오지 않거나 극단적인 경우에는 고사해 버리는 경우가 생긴다. 추위에 약한 한란이나 혜란의 경우는 많은 사람들이 가온을 하여 배양하나 춘란의 가온 재배는 가능한 피하는 것이 좋다.

꽃망울의 관리
늦여름부터 표토 위를 뚫고 나온 꽃망울이 이제는 제법 살이 올라 통통해졌다. 이에 따라 씌워주었던 화통의 크기를 꽃망울에 맞게 교체해 준다.
대부분은 1월말까지 화통을 씌워둔 채로 겨울을 지내야 하나 더 이상 화통이 필요치 않은 품종도 있다. 추운 겨울의 낮은 외기온도에 노출이 되어야 화색이 아름답게 발현되는 품종들이다.
한란의 꽃색이 주야의 일교차에 의해 좌우되듯이 춘란의 화색은 저온의 환경에서 차광하여 엽록소 형성을 억제하는 데에 있다. 홍화와 자화 계통은 일찍 화통을 벗겨 아침의 햇살을 받게 하면 발색에 많은 도움이 된다.

* 산사람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1-04-21 15:02)

금강 08-01-14 23:52
 125.♡.87.64  
  좋은 자료 찝합니다
 



..